공기정화 관련 정보

내인성감염과 외인성감염

puretopia 2020. 12. 15. 17:33

안녕하세요!

 

오늘은 감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먼저 감염이란 ?

감염체가 숙주에 침입, 정착하여 증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병원체의 감염력이 숙주의 면역방어능럭보다 강할 때 이루어집니다.

 

병원체는 진핵생물(기생충, 진균), 원핵생물(세균), 바이러스, 프리온 등으로 분류됩니다.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증상감염이라고 하고

무증상인 경우를 무증상감염이라고 합니다.

 

감염에서 증상감염까지는 잠복기가 존재합니다.

병원체가 체외로 배제된 상태를 치유라 하는데

치유가 되면 숙주는 그 병원체에 대한 면역을 획득하게 됩니다.

 

만일 무증상인 상태로 감염이 계속된다면

이를 지속감염이라 합니다.

 

감염은 내인성감염과 외인성감염으로 나뉩니다.

 

외인성감염이란 외부에서 병원체가 체내로 전파되어 일어난 감염을 말하고

수평감염과 수직감염으로 나뉩니다.

 

수평감염은 감염원으로부터 주위에 전파되는 감염을 말하는데

접촉감염, 비말감염, 공기감염, 매개물감염 등이 있습니다.

 

수직감염이란 모체에 감염되어 있는 병원체가

임신 분만 수유를 통해 아기에게 감염하는 것을 말합니다.

태반경유 감염, 산도감염, 모유 감염등이 있습니다.

특히 태반경유감염에 의해 태아에 심각한 증상을 일으키는 감염증을

TORCH증후군이라고 합니다.

 

내인성감염이란 평소에는 숙주에게 병우너성을 나타내지 않는

상재미생물총이 숙주의 상태 변화에 따라 병원성을 발휘하는 것을 말합니다.

 

내인성감염에는 균교대현상

(항균제나 튜브 등이 원인으로 상재미생물총의 균형이 파괴되고

특정 미생물이 우위로 증식하는 것)과

이소성감염 (상재미생물이 다른 장소로 침입하는 것)

기회감염(숙주의 면역능력 저하로 인해 상재미생물의 병원성 발휘)

등이 있습니다.